2024 January 치와와 강아지 슬개골 탈구 수술 / 인천 24시 독스 동물병원

3세 치와와 좌측 슬개골 탈구 수술 내용입니다. 산책 중에 좌측 뒷다리를 드는 모습을 보여 내원하게 됐습니다. 상담 과정에서 촉진을 했을 때 슬개골 탈구 소견을 보였고 엑스레이 촬영을 통해 슬개골 탈구 3기 진단을 하였습니다. 고관절에 미약한 관절염과 헐거움 그리고 근육량이 다소 저하된 모습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수술을 바로 결정하진 않았지만 반려견이 통증을 호소한 뒤에 재방문하였을 때에는 충분한 상담을 한 뒤에 수술을 결정하였습니다.

TTT (TibialTuberosity Transposition ) 경골조면 이식술 적용하였습니다. 경골 조면 이식술은 돌아간 강아지의 경골 조면 부분을 절골 및 회전하여 탈구된 슬개골을 제자리에 돌려놓는 방법입니다. 무릎 관절을 노출시킨 뒤 돌아간 경골의 조면 부분을 절골 및 회전한 후 핀으로 고정시켰습니다. 수술 후 촬영한 방사선 촬영상에서도 핀이 안정적으로 박혀있고, 슬개골의 위치와 각도가 정상적인 상태로 돌아와 있습니다.

강아지 슬개골 탈구는 다른 외과 수술에 비해서 관절 수술 시에 감염의 위험도가 비교적 높은 수술이라 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슬개골 탈구 수술 시에 수술할 다리에 대한 삭모와 수술실 환경 및 입원 환경의 철저한 멸균처리 과정이 매우 중요합니다. 본원은 수술과 관련한 모든 환경의 위생과 멸균에 대해서 철저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강아지 슬개골 탈구는 요크셔테리어, 말티즈, 포메라니안, 치와와 등 작은 소형견 품종에서 현저히 많이 발생합니다. 절거나 뒷다리를 들고 걷는 증상, 또는 O자 다리 모양, 무릎에서 ‘뚝’하는 소리, 스트레칭을 하듯 한 다리씩 뒤로 뻗는 모습이 보인다면 슬개골 탈구를 의심해볼 수 있습니다. 슬개골 탈구는 엑스레이 촬영을 통해서 확진하지만, 노련한 수의사들은 촉진을 통해서 대략적인 판단을 할 수 있으니, 꼭 슬개골 탈구 진료가 아니더라도 수의사에게 촉진을 부탁하는 습관을 갖는 것도 슬개골 탈구 진단을 위한 좋은 습관이 될 수 있습니다.

슬개골 탈구 수술은 수술도 중요하지만 수술 후에 사후 관리와 보행 습관을 잘 들이는 것 또한 매우 중요합니다. 강아지 슬개골 탈구 수술 후에도 재발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입니다. 본원에서는 수술 후에 입원 모니터링을 통해 수술 경과를 철저하게 체크하고 크라이오 극저온 재활 치료를 통해 술부의 회복과 통증을 줄이는 재활 치료를 필수적으로 병행하고 있습니다. 재활 치료와 술부 회복을 확인하고 정상 보행을 하게 되면 퇴원 조치하게 됩니다.